전체 글(408)
-
《금리 0.5%포인트 올렸어야".....뜨거운 노동시장에 놀란 Fed》
🚩 Fed 금리 5.40%p 가나? 《금리 0.5%포인트 올렸어야".....뜨거운 노동시장에 놀란 Fed》 ●"인플레이 여전히 매우 높아" ●"제약적 정책 기조 유지할 필요" ●"연내 금리 인하 물 건너 갔다" ■지난 3일 발표된 미국의 1월 고용보고서로 인해 미국 중앙은행(Fed) 인사들이 매파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어야 한다는 발언까지 나왔다. ■인플레 여전히 매우 놓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매우 높으며, 따라서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 ■경제 지표에서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신호는 보지 못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낮추기 위해 더 긴 싸움을 준비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몇 ..
2023.04.01 -
누누히 말했던대로 어제 VN30이 전고점을 돌파했다. 그리고 원달라환율도 예상했던대로 계속 상승세다.
누누히 말했던대로 어제 VN30이 전고점을 돌파했다. 그리고 원달라환율도 예상했던대로 계속 상승세다. 그에 비해 코스피는 변동성이 계속되지만 기본적으로 약보합세다. 누누히 이야기한대로 미국 국채금리 상승의 영향, 미국과 한국의 경기상승의 시간차 현상과 백신 방역 시간차 현상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이후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심화 누적된 저성장 기조도 한 역할 한다. 2020년은 코로나가 없었다면 한국 경제성장률은 1%대로 추락했다. 코로나 때문에 경제실정, 경제상황 악화가 감춰진 것이다. 누누히 이야기한대로 파월 의장에 너무 기대하면 안된다. 경제원리에 저항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환차익까지 더해서 현재 베트남이 미국이나 한국보다 훨씬 수익률이 좋다. 베트남의 신자유주의 영웅 응웬쑤언푹 총리의 신자유쥬의 ..
2023.04.01 -
미국 상황. 이미 전에 이야기했던대로, 연준이 아무리 금리인상이 없다고 해도 백신으로
미국 상황. 이미 전에 이야기했던대로, 연준이 아무리 금리인상이 없다고 해도 백신으로 인한 빠른 경기회복과 급등하는 국채금리를 계속 무시할 수가 없다. 파월 연준 의장의 말을 무조건 믿으면 안된다. 이러면 조만간 한국에도 영향이 미친다. 한국도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게 되고, 그런데 한국은 코로나 백신방역에 실패한데다가 문재인 정부 3년간 누적된 반신자유주의 기조의 경제를 감안하면 경기회복이 미국에 못미친다. 이때 한국이 한미금리역전을 피하기 위해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더욱 부진해지고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더 큰 위험에 빠지는 딜레마 상황이 나타나고 장기저성장 국면으로 들어간다. 코스피가 현재 단기 조정장이며 곧 3600까지 간다는 주장은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지방 부동산도 위험하..
2023.04.01 -
올해 초에 파월 의장이 미국의 금리 인상은 2025년 이후에나 돼야 검토를 할 것이라고 하면서
(#투자클럽 올해 초에 파월 의장이 미국의 금리 인상은 2025년 이후에나 돼야 검토를 할 것이라고 하면서 인플레도 2% 타게팅 운운했을 때 나는 파월 의장이 오판하고 있다고 보면서 고인플레가 나타나고 지속될 것이며 이에 따라 금리인상은 2023년쯤에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예상대로 미국의 인플레는 5%이상 높은 수준을 계속 달려가고 있고 이제 당장 긴축 통화는 불가피하다. 실제로 연준은 11월 들어서 국공채 매입 물량을 줄이기 시작했다. 긴축 통화정책이 이미 시작된 것이다. 그렇다면 내 예상대로 금리인상도 2023년 전후로 이뤄질 것이다. 이럴 때 문제가 되는 게 당장 내년부터 전세계적으로 통화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때 경제력이 약한 곳, 인플레와 국가부채가 높은 나라 혹은 증가속도가 빠른 나라들..
2023.04.01 -
카카오가 지난주 SM 재판부에 이해관계인으로서 의견서를 낸 것이 있다. 법률신문이 이를 입수하였다며 단독으로 보도하였지만 눈길을 끌지 못했던 것
펌) 카카오가 지난주 SM 재판부에 이해관계인으로서 의견서를 낸 것이 있다. 법률신문이 이를 입수하였다며 단독으로 보도하였지만 눈길을 끌지 못했던 것 같다. 카카오는 이 의견서에서 '21년 6월과 '22년 2월 협상 당시 이수만이 카카오에 요구했던 조건들을 공개하였는데, 참 욕심을 많이 부렸다는 느낌이 든다. 이수만의 요구조건은 이랬다고 한다. 1. 향후 5년간 SM의 총괄프로듀서로서 SM의 콘텐츠 최종결정권을 보장. 기존 대상회사와 동일 조건을 유지 2. 기존 SM 외 카카오의 계열사 및 제3자 소속 아티스트 등에 프로듀싱 제공 시 사안별 별도 프로듀싱로열티 계약 체결 3. 카카오가 2000억 원을 투자해 퍼블리싱 법인 설립, 카카오가 60%, 이 전 총괄이 40% 지분 보유 4. 퍼블리싱법인 설립 후..
2023.03.31 -
하이브는 지난주 종료한 공개매수에서 주당 12만원 매수가격을 끝까지 유지했다.
펌) 1. 하이브는 지난주 종료한 공개매수에서 주당 12만원 매수가격을 끝까지 유지했다. 마감 며칠 전 주가가 12만원을 웃돌고 있는 상황에서 하이브에 매수가격 상향 의사를 물어본 적이 있다. 답은 "12만원도 정상적인 밸류에이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본다"며 "매수가격을 바꿀 의사는 없다"는 것이었다. 2. 아울러 SM 경영진이 카카와의 전략적 제휴로 달성하겠다 밝힌 실적목표치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낙관적인 숫자들"이라고 비판했다. 하이브가 이미 앞서서 실행해 본 전략들이라 어느 정도의 숫자가 나올지 짐작할 수 있는데, 무리한 전망들이 많다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3. 어제 카카오가 주당 15만원 공개매수를 선언하였고 오늘 SM 종가는 15만8500원을 기록했다. 하이브가 주당 18만원에 대항공개매수를..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