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8)
-
대응을 했어야 하는데 SVB는 대응을 하지 않았다, 그러니 자본건전성이 무너지는 것이다.
이 기사에서도 보듯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급격히 기준금리를 올린 여파로 SVB의 자본건전성이 무너진 만큼"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 그러나 SVB의 자본건전성이 무너진 것은 SVB가 국채에 투자를 올인했고 수익성 낮은 환경 기타 사회적가치 부문에 너무 많이 투자했고, 헤지를 하지 않아서 무너진 것이다. 즉 PC주의 좌파 이데올로기에 빠진 SVB경영진들이 경영을 잘못해서 무너진 것이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크게 올리게 될 것은 이미 2021년부터 예견됐던 일이다. 바이든과 연준이 경제 정책을 잘못쓰고 금리를 잘못가져간 것이 누적돼서 2022년부터는 인플레이션이 극심해지고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게다가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전쟁도 발생하..
2023.04.02 -
금리 인상 속도를 올릴 수 있다.. 물론 그 앞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결정
오건영님글 파월 의회 증언 얘기듣고 사실 저도 많이 놀랐습니다. 다시 금리 인상 속도를 올릴 수 있다.. 물론 그 앞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말은 붙였지만 상당히 의외였습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제대로 인지한 것은 2021년 1월부터였죠. 여기서 인플레이션 얘기를 이미 시작을 했었구요… 3월 정도부터는 인플레가 강해질 것이라는 예고를 합니다. 다만 그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것이라고 했죠. 그리고 일시적일 것 같았던 그 인플레이션은 2년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시적이지 않을 것 같다는 것을 연준이 인지했던 것은 21년 7~8월이었구요, 이 때 FOMC와 잭슨홀 연설을 통해 연내 테이퍼링을 시사하게 됩니다. 그리고 21년 11월 테이퍼링이 시작되었죠. 다만 테이퍼링에도 불..
2023.04.02 -
FOMC 내 연준은 만장일치로 25bp 금리인상을 단행
《옐런 미 재무부 장관 "모든 예금 보호에 대한 방안을 검토중이지 않으며, 이를 경영진이 책임져야 한다."......Fed 5.00%》 ■환율 - FOMC에 의한 위험선호 🚩 FOMC 내 연준은 만장일치로 25bp 금리인상을 단행했으나 연준 위원들에서 금리 동결 역시 하나의 옵션이었다는 점을 시사했다. 🚩 파월 의장은 최근 은행 문제를 "Serious problems"이라 진단했다. 🚩 연내 금리인하 없다. 양적긴축(QT)정책을 동일하게 유지했다. 🚩 BTFP등의 새로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양적완화(QE)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기자회견 후반부에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필요하다면 금리를 더욱 올릴 것이라 강조했다. 🚩 이 과정에서 미 증시는 장초 보이던 상승분을 반납 후 하락했다.
2023.04.02 -
■美 경기침체 ‘임박’ 신호와 전망 커지고 강해졌다.
《미국이 올해 경기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신호가 곳곳에서 등장하고.....국제투기자본은 이미 알고 있다.》 ■혼란으로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질 수 있다. ■美 경기침체 ‘임박’ 신호와 전망 커지고 강해졌다. ■채권시장서 가장 강력한 신호 보내 ■전문가들도 경기침체 임박 전망 🔽 올해 연방준비제도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투표권을 갖고 있는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26일(현지시간) CBS 방송 인터뷰에서 미국의 경기침체가 가까워졌을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 카시카리 총재의 우려, 본래 이런 신호와 함께 경기침체를 경고하는 목소리는 작년부터 꾸준히 등장했으나 최근 은행권 우려가 커지면서 더욱더 크고 빈번하게 나오고 있다. 🔽 고금리와 고인플레이션 시대에 은행권 우려마저..
2023.04.02 -
《올해 경기 침체가 연준의 예상보다 더 길고 깊을 것》
《올해 경기 침체가 연준의 예상보다 더 길고 깊을 것》 《'1997년 외환위기 +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복합위험에 처했다.》 ⚧ 중앙은행들이 긴축 통화정책을 이어가면서 경제가 또 다른 금융위기에 빠질 위험이 있다. ⚧ 연방준비제도(Fed)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25bp 추가 인상하며 지난해 이후 금리를 총 475bp를 인상했다. ⚧ 이는 연준 역사상 가장 공격적인 긴축, 금리 인상이 경제를 3가지 다른 위험에 노출시킨다. 1. 고금리가 경제를 과도하게 긴축시키고, 경제를 경기침체에 빠트릴 위험이 생긴다. 가계나 기업의 수입을 급격하게 줄일 수 있다. 2. 기업들의 자금조달 비용이 상승해 자산 가격이 내려갈 수 있다. 지난해 미국 주가는 연준의 금리 인상에 20% 하락했다...
2023.04.02 -
오건영님글)경기 침체로 넘어가게 되면 바로 피벗에 대한 기대가 생겨납니다.
제주도에 출장이 있어 다녀왔습니다. 낮 시간에 다녀왔으면 좋은데 오후 비행기로 저녁에 도착해서 꽃을 많이 보지는 못해 아쉬웠죠. 벚꽃이 만개한 이후 조금씩 끝나가는 상황이라고 하시더군요. 그래도 제주 대학을 향해 가는 차에서 바라보는 도로 양 옆으로 핀 꽃의 장면이 참 아름다웠습니다. 중간에 차를 세우고 사진을 좀 찍으면 안되겠냐고 말하고 싶었지만.. 꾸욱 참았죠… ^^;; 나이가 들긴 하는 것 같습니다. 오전에는 마켓 정리를 좀 하고 오후에는 집 앞 공원에 벚꽃이 만개했다고 하니 멍멍이와 함께 산책이라도 다녀와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해 5월부터 시장이 루프에 빠져있죠. BOA의 마이클 하트넷 프레임을 그대로 가져와서 말씀드리면… 인플레이션 쇼크, 금리 쇼크, 경기 침체 쇼크.. 이 세가지가 시장을 ..
2023.04.02